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6.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 최저 기온을 이용한 한국의 폭염사상 추세

Trend of heat wave events in South Korea using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 48

폭염은 전 세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열 노출과 관련된 위험을 악화시키고,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 는 폭염의 한 가지 형태 중 하나인 열대야를 대상으로 한국의 열대야 추세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1973년부 터 2018년까지 한국 기상청 ASOS 60개 지점의 일 최저 기온을 이용하여 여섯 개의 열대야 특성의 시간적인 변화를 분석하였 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열대야 관심지역은 인천, 강릉, 청주, 전주, 광주, 장흥, 여수, 거제, 구미, 영덕 등 10개 지역, 열대야 우심지역은 홍천, 양평, 수원, 원주, 보령, 대전, 부안, 정읍, 목포, 거창, 밀양, 포항, 제주, 서귀포 등 14개 지역이 식별되었다. 제안된 열대야 우심지역에는 특별한 열대야 대책이 수립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Heat waves are a global phenomenon that exacerbate the risks associated with heat exposure and cause fatal human inju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ropical night, one of the forms of heat wa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trend of tropical night in Korea is changing. From 1973 to 2018, we analyzed the temporal changes of the six tropical nights using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at 60 ASOS stations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rom these analyzes, 10 sites were selected as attention sites for tropical nights: Incheon, Gangneung, Cheongju, Jeonju, Gwangju, Jangheung, Yeosu, Geoje, Gumi, Yeongdeok. The severe sites for tropical nights were identified as 14 sites including Hongcheon, Yangpyeong, Suwon, Wonju, Boryeong, Daejeon, Buan, Jeongeup, Mokpo, Geochang, Miryang, Pohang, Jeju, and Seogwipo. At the severe sites identified, special tropical night measures will need to be establish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토론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