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6.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조위 자료 내 파고 성분 분리

Decomposition of Wave Components in Sea Level Data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 21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태화강 유역의 연안 지역을 대상으로 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연안 지역의 파고의 영향성 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Daubechies 7의 기저함수 및 Curve Fitting 함수를 이용하여 조위 자료를 분리한 결과 세분화 성분 내 반일주조성분( d3 ), 일주조성분( d4 )의 단주기 성분 및 최종 분해된 근사 성분( a6 )에서는 1년 주기의 장주기 성분을 확인하였 다. 6단계로 분해된 조위 자료는 자기상관분석 및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기성을 가지는 조석 성분과 비주기성을 가지는 파고 성분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위 자료 내 조석 성분은 66% 및 파고 성분은 34%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를 활용한다면, 파고의 영향을 고려한 연안 지역 홍수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ve height in coastal areas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in Taehwa river basin in Ulsan. Through the decomposition result of tide data using daubechies level 7 wavelet and Curve Fitting Function, we confirmed that detail components of d3 and d4 were semidiurnal and diurnal components and approximation component( a6 ) was the long period of lunar fortnight constituent. The decomposed tide data in six level was divided into tide component with periodicity and wave component with non-periodicity using autocorrelation function and fourier transform. Finally, we confirmed that the tide component is consisted 66% and wave component is consisted 34%. So, we quantitatively assessed the effect of wave on coastal areas. The result could be used for coastal flood risk management considering the effect of wave.

1. 서론

2. 파고 성분 추출 방법

3. 조위 자료를 이용한 파고 성분 추출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