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하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적정 유황 범위 고찰: 한강유역사례

Flow Regime Boundary for Restoring River Ecosystems: A Case of the Han River Basin

  • 24

하천에서 물이용을 위한 이수사업은 피할 수 없는 하천유황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하여 하천 생태계의 건전성을 훼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들어 변화된 하천환경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이 본격화 되었다. 하천복원사업의 주된 목적은 수로를 복원하고, 오염된 하천의 개선, 생태계를 위한 서식처 설치 및 인간의 친수활동을 위한 공간확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생태계보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하천에 흐르는 유황의 복원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하천유황은 생태계의 모든 측면에서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황과 생태계의 관계 규명과 하천에 유지하여야 할 목표유황의 설정 및 하천유황복원 방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아직 정립되지 않은 유황과 생태계의 관계를 환경유량의 개념을 통하여 소개하고 자연유황의 역할과 Richter et al.(1997)이 제안한 유량변동분석법(Range of Variability Approach, RVA)을 이용한 유황 평가 및 목표유량 설정 방법을 한강 유역의 사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River works for water utilization have substantially altered the natural flow regime, and it has resulted in deformation of healthy river ecosystems. In Korea, river restoration projects have conducted actively since 1990 s. Major purposes of the river restoration are the rehabilitation of modified river channel,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creation of aquatic habitats as well as recreational spaces using natural material for river work. However, there have been little interests about the restoration of flow regime which influences to most aspects of river ecosystems. The restoration of natural flow regim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servation of aquatic ecosystems. It should be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regime and river ecosystems, and the restoring flow regime is essential. This paper introduc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low through the interrelation between flow regime and river ecosystem. It provides rolls of flow regime and addresses the method of establishing target flow regime using the RVA(Range of Variability Approach) that suggested by Richter et al.(1997) through analysis of altered flow pattern case of Han river basin.

1. 서 론

2. 하천유황, 환경유량과 하천 생태계 복원

3. 우리나라 이수사업과 하천유황의 변화

4. 하천유황의 변동분석: 한강유역 사례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