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유능감 욕구와 자기통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영남지역 6개의 초등학교와 4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8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변량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청소년의 학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청소년의 학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참여 간의 관계에서 유능감 욕구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참여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참여 간의 관계에서 유능감 욕구와 자기통제의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유능감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시 자기통제를 향상시키는 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서도 청소년들의 학습참여를 간접적으로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상담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arent and teacher autonomy support on academic engagement in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 need for competence and self-control.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800 students from 6 elementary schools and 4 middle schools in the Yeoungnam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while parent autonomy support did not directly affect academic engagement in adolescents, teacher autonomy support did. Adolescent need for competence and adolescent self-control each independe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engagement. Additionally, there was a serial mediation effect of adolescent need for competence and self-control in relation to parent and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s that satisfaction with need for competence indirectly influences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quential mediation by improving self-control.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ademic engagement problems in adolescents.
방법
결과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