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체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에 관한 국외 연구 고찰

An Overseas Literature Review on Full Inclus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251
150234.jpg

본 연구는 완전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체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외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지체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이 무엇인지, 지체장애학생들이 경험하는 완전통합교육은 어떠한지, 또한 이를 위한 지원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체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국외 학술지 논문을 분석 대상 연구로 선정한 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진정한 완전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물리적 지원뿐만 아니라 지체장애학생에게 적절한 다양한 지원 및 주변인의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학생은 완전통합교육환경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같은 긍정적 경험을 하기도 하였으나, 물리적 환경에서의 어려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소외와 같은 부정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물리적 환경, 개별학생에게 적합한 교육 방법 제공 및 교사 및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진정한 완전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체장애학생의 요구를 파악해야하며, 학교 관리자 및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완전통합교육을 지원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full inclus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eer-reviewed articles from oversea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e. full inclus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ir experiences in full inclusion, and supports to improve full inclusion. According to the review, meaningful full inclus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quires proper physical environment, supports in plac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dditionally, adequate training for administrato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full inclus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a neces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experiences in school settings.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such us, examining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training programs are discussed.

방법

결과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