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살 유가족의 사별 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Experiences of Families Bereaved by Suicide
- 곽지영(Gwak Ji-Young) 서미아(Seo Mia)
- 한국가족치료학회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제27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621 - 646 (26 pages)
본 연구는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사별 후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자살로 가족을 잃은 지 3년 이상 경과되었으며, 현재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삶을 유지하고 있는 유가족 세 명이다. 심층면접을 통한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이며 참여자당 총 2~3회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현장에 존재하기, 현장 텍스트로 이동하기, 현장텍스트 구성하기, 경험에 대한 의미구성, 연구텍스트 구성의 다섯 단계를 적용하였다. 참여자들의 삶의 경험의 의미는 <어둠: 나락으로 떨어짐> <숨김: 저주받은 내 인생> <후회와 죄책감: 늪에 잠김> <사랑: 다시 일으키는 힘> <분리: 비로소 나로 살아가다>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의 자살을 경험한 자살 유가족들의 삶과 그들의 경험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여 상담 현장에서 자살 유가족들에 대한 효율적인 상담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post-bereavement of the families who have lost a family member to suicide. Methods: We interviewed three participants who had lost a family member to suicide more than three years ago and are now relatively stable. Data coll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9, and a total of two to three interviews was conducted per participant. Data analysis, conducted with methods derived from Clandinin and Connelly (2000), included “present on the site,” “moving to field text,” “site text composition,” “experience meaning composition,” and “research text composition.” Results: Resulting narratives include <Darkness : A bolt from the blue>, <Hidden: My cursed life>, <Remorse and guilt: Bogged down>, <Love : Love raises you back up>, and <Separation: Living my life at las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effective counseling for families that experience family loss to suicide by providing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bereaved families who share the experience.
Ⅰ. 들어가면서
Ⅱ. 이론적 배경
Ⅲ. 내러티브 탐구 과정
Ⅳ. 참여자들의 이야기
Ⅴ. 자살 유가족의 삶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