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299.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취학 자녀를 둔 워킹맘에 대한 이야기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Narrative Therapy with Working Moms of Preschool Children

  • 688

본 연구는 일과 양육을 병행하며 미취학 자녀를 둔 워킹맘을 대상으로 이야기치료를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워킹맘의 어머니 역할에 대한 지배적인 사회 담론을 해체하고 이야기 은유를 사용하여 정체성 이야기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상담의 후반에는 외부증인 작업을 통한 대안적 이야기의 확장 및 심리사회적 결속력을 구축하였고 치료 전 과정을 녹취, 전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워킹맘이 경험하는 어머니 역할에 대한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갈등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모호하고 빈약한 이야기로 구성된 ‘좋은 엄마 정체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워킹맘이 일과 양육의 병행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와 심리적 갈등을 이야기치료 과정에서 외재화하고 대안적인 이야기와 선호하는 정체성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워킹맘은 다양한 자기 이해를 확장하고, 자원과 강점을 발견해가면서 기존의 어머니 역할에 대한 지배적인 담론에서 비롯된 빈약한 스토리의 어머니 정체성이 아닌 선호하는 어머니정체성 이야기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치료는 미취학 자녀를 둔 워킹맘의 선호하는 정체성 이야기 재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Case study in which narrative therapy is applied to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er try to dissolve the dominant social discourse about the mother role of working mom and reconstruct the identity narrative using metaphor. In the process of narrative therapy, the expansion of alternative stories and psycho - social cohesion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work of outsider witness. The whole process was recorded and analyzed qualitative method. Results: As a result, nega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on the role of mother in the working mother were found to be based on ‘good mother identity’ composed of poor stories.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nega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experienced in the working mothers could be externalized in the narrative process and reconstructed alternative stories and preferred narrative of identity. Conclusions: In this way, the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an expand their diverse self-understanding, and while discovering their resources and strengths, can reconstruct the story of their preferred mother identity rather than the mother s identity of the poor story originating from the dominant discourse on the mother s role. In conclusion, narrative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constructing the preferred narrative of identity in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