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업성취 변동 종단 분석: 교육격차 완화 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trend of achievement gap to explore factors mediating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backgrounds

  • 59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변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국 수준의 수학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초모형 분석을 통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수학성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확인하고, 학업성취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을 통해 부모의 SES는 수학성적 변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반면, 중학교이후 학교평균 SES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학생이나 학교의 과정 특성들이 수학성적 변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성취 격차 완화를 위한 학교교육의 개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주목한 바, 학교교육 과정 특성 중 교사의 교육기대가 수학성적 변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교사의 교육기대가 높았던 시기에 학생들의 수학성적이 높은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교육기대가 유의하게 높지 않을 경우 성적이 하락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상 학업 성취도 격차 완화에 있어 교사 영향력 정도와 개입 가능성을 시간에 따른 추이를 반영한 경험적 자료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교육정책에 던지는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factors that mitigate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family on the changes of children’s math scores analy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set. The findings show tha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SES) does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math score changes, while the mean SES of lower secondary school does. On the other hand, factors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study hours,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teachers’ educational expect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ath sco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uncovers the possible roles of teachers and schools in reducing the gap in math achievement among different SES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