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26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하모니카를 활용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과 구강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rmonica-Based Music Therapy on Respiratory Function and Oral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106

본 연구의 목적은 하모니카를 활용한 입 운동 및 호흡훈련(OMREX)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과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진단폐활량계(PF-100)를 사용하여 최대호기유량(PEF)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을 측정하였고, 구강조음기관검사(OSMSE-R)를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턱, 입술, 혀의 운동기능의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에서는 하모니카를 활용한 입 운동 및 호흡 훈련이 최대호기유량(F(1.18)=19.40, p<.001)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향상(F(1.18)=29.99, p<.001)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서는 턱의 운동기능(F(1.18)=12.37, p<.01)과 입술의 운동기능(F(1.18)=42.76, p<.01) 그리고 혀의 운동기능의 향상(F(1.18)=41.06, p<.001)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는 하모니카를 활용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과 구강운동기능에 향상된 결과를 가져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armonica-based Oral Motor and Respiratory Exercise (OMREX) Music Therapy designed to improve respiratory and oral motor functions in patients recovering from a stroke. Assessments of PEF and FEV1 for PF-100 were conducted to measure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In addition, OSME-R (Oral Speech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Revised) was utilized to assess the oral (jaw, lip and tongue) motor functioning of the patients. Results show that harmonica-based music therapy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al motor functioning of patients; findings are as follows: respiratory function PEF(F(1.18)=19.40, p<.001) and FEV1(F(1.18)=29.99, p<.001), oral motor function of the Jaw (F(1.18)=12.37, p<.01), the Lips (F(1.18)=42.76, p<.01) and the Tongue (F(1.18)=41.06,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music therapy program using the harmonica improve both respiratory function and oral motor function of patients recovering from a stroke. 번역하기

방법

결과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