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mong Undergraduates: A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 한동헌(Han, Dongheon) 이상희(Lee, Sanghee) 조영아(Cho, Younga)
- 한국재활심리학회
- 재활심리연구
- 제23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6
- 397 - 415 (19 page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기불일치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능력에서 마음챙김과 대인불안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강원도에 소재한 5개의 대학생 324명(남학생 154명, 여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불일치, 대인관계 능력, 마음챙김, 대인불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불일치는 마음챙김, 대인관계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대인불안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는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마음챙김과 대인불안을 통한 순차적인 간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능력에 대한 마음챙김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자기불일치의 영향 뿐 만 아니라 마음챙김과 대인불안의 영향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mindfulness, interperson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administered to 324 undergraduates at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do.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mindfu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anxiety. Second,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a sequential manner. And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affected direct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is findings suggest that reducing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and facilitating the mindfulness help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counseling session for students with l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counseling session.
방법
결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