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는 변한의 ‘국’에서 발전한 국가적 성격의 정치체이며, 그 중심지는 ‘국읍’이었다. 본고에서는 이 국읍의 실체를 초기국가의 도성으로 발전해 가는 도시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국읍의 경관구조와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가야 정치체를 대표하는 가락국 국읍의 경관을 분석하였다. 가락국의 국읍은 김해 봉황동유적과 대성동고분군이 위치한 김해분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3세기후반~5세기전후에 도시 경관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경관구조는 왕궁을 중심으로 거주역-토성-경작지-묘역-초지·산지-하위취락이 배치된 초점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장층 거주역을 초점으로 하여 기능공간들이 구조적으로 재편된 공간적 분화 양상을 이룬다. 이것은 가락국 수장층이 정치권력 확대 과정에서 공간을 전략적으로 이용을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가락국 국읍의 경관은 물리적 환경의 전략적 재구성과 활용이라는 문화경관적인 의미와 더불어, 권력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의미화된 경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가락국의 정치권력을 상징하는 왕궁과 왕묘는 국읍의 안과 밖에서 상시적으로 가시되는 경관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국읍의 거주민과 출입자에게 랜드마크와 같은 상징적인 경관을 상시 체험하게 하여 권력의 존재를 각인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한편으로는, 일상생활에서 거주민들이 왕궁과 왕묘역 내부를 볼 수 없도록 시선이나 접근을통제하여 권력화된 경관을 조성하였다. 특히, 대성동고분군은 수장층뿐만 아니라, 국읍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매장의례행위라는 연속적인 체험과 기억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유지하는 경관으로 역할을 하였고, 정치권력의 확대와 지역적 통합을 강화하는 경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Gaya was a political body featuring a state-like character which developed from the guk of Byeonhan; at its center was the ‘Gukeup’. The Gukeup referred to a city that developed into the capital city of early states. In order to examine the landscape structure of these Gukeups and to interpret their meaning, landscap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ukeup of Garak-guk, which represented the Gaya politics. The Gukeup of Garak-guk is believed to have been located in the Gimhae Basin, where the Bongwangdong site and Daeseongdong tombs are located; the city landscape appears to have been completed between the latter part of the third century and around the fifth century. The landscape structure consisted of a type of focal landscape that consisted of the earthen wall-cultivation fieldscemetery- grass land and mountains-residential area, with the royal palace at the center. This landscape structure focuses on the living areas of the chiefs and evidences a spatial differentiation, in which functional spaces are structurally reorganized. This appears to have been the result of the strategic use of the landscape by the leaders of Garak-guk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ir political power. In addition to the cultural landscape meaning of the strategic reconstru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Gukeups were perceived as meaningful landscapes that formed and maintained power and identity. The royal palace and royal tombs, which symbolize the political power of Garakguk, were constantly visible inside and outside the Gukeup, which served to awaken residents and visitors of the township to the existence of power by experiencing symbolic views, such as landmarks. On the one hand, the socalled ‘landscape as power’ was created by controlling visibility and access to prevent residents from seeing the royal palace and the interior of the royal palace and royal tombs in their daily lives. In particular, Daeseong-dong tombs had a meaningful landscape not only for the leaders but also for members of the Gukeup community, forming and maintaining their identity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and memories of long-term burial rituals, and strengthening the expansion of political power and regional integration.
Ⅰ. 머리말
Ⅱ. 「도시론」, 「경관론」, 「방법론」
Ⅲ. 가락국 국읍 경관의 재구성
Ⅳ. 가락국 국읍의 문화경관과 상징경관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