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353.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in The relation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Relationship Addiction

  • 104

본 연구는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내현적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500명에게 부모-자녀 결합 척도(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관계중독 척도를 실시하였고 한부모자녀, 이성관계 경험이 없는 대상을 제외한 38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관계중독과 내현적 자기애에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내현적 자기애도 관계중독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를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in the relation of overprotective parenting of parents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total of 500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measure of Parental Bonding Instrument, Covert Narcissism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and analyzed 384 data, except for one-parent family and having no experience of love. The data was examined to varify study model using SPSS for basic statistic analysis and AMO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overprotective parenting,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covert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relationship addiction.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방법

결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