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기능적 자동적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Role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Automatic Anger Thoughts and Anger Expression
- 김미현(Kim, Mi-Hyeon) 이동형(Lee, Dong-Hyung)
- 한국재활심리학회
- 재활심리연구
- 제21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12
- 395 - 411 (17 pages)
본 연구는 분노가 유발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역기능적 자동적 분노사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표출 및 분노억제)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마음챙김의 하위 요인 중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상대적 기여도가 높은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남녀 예비대학생 및 재학생 25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 역기능적 자동적 분노사고 척도,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FFMQ)로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과 위계적 및 동시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마음챙김은 분노억제 및 역기능적 자동적 분노사고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분노표출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음챙김은 역기능적 자동적 분노사고와 분노표현 중 분노억제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시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마음챙김의 하위요인 중 ‘기술’, ‘자각행위’ 및 ‘비판단’이 역기능적 분노억제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automatic anger thought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e., anger-in and anger-out). A total of 254 undergraduate students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city in the southeast of Korea completed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STAXI-K), Automatic Anger Thoughts Scale, and Korean version of Five-Facets of Mindfulness Questionnaire (FFMQ). Correlationa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indful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anger-in and dysfunctional automatic anger thoughts, but not with anger-out.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automatic anger thoughts and anger-in. It was also found that three of five mindfulness facets (i.e., describing , acting with awareness , and “non-judging of experience”) have unique contributions to anger-i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in the study.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