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steem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 박미향(Park, Mi-Hyang) 김정숙(Kim, Jeung-Sook) 함경애(Ham, Kyong-Ae)
- 한국재활심리학회
- 재활심리연구
- 제21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08
- 189 - 206 (18 pag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와 B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00명과 경상북도 소재 C와 D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150명, 총 350명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첫째, SNS중독경향성은 여자대학생이 남자대학생보다, 1학년이 3학년보다 SNS중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의 5개 하위영역 중에 신경증과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steem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5 selected college students in the region of Busan and Gyeongsangbuk-do. Their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ere assessed to gather data,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the variables by SPSS 18.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e neuroticism and self-esteem has influences on their SNS addiction tendency.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