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지적장애인의 상담 : 재활적 정신보건 치료 접근

  • 367

Habilitative 정신거강 상담은 개념상 인지능력에 손상을 보이는 지적장애인 내담자의 상담에 있어 매우 이상적인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상담사는 구체적 행동과 관련 인지기술들을 가르치고 정서적 지지와 동기 부여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내담자가 일상 속에서 이들을 자신이 처한 상황의 대처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 같은 접근은 대화를 통해 습득된 인지적 개념이나 주당 1시간의 상담을 통해 형성된 정서적 애착(attachments) 혹은 정서적 변화가 미래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유사한 인지, 행동, 사고 요소에 적용될 거라는 전제에 기초한 전통적 상담전략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나아가, 앞서도 지적했듯이 habilitative 정신건강 상담은 많은 부분에서 Buetler(2000)가 제안한 성공적인 치료 실천 기준과도 일치한다.

Ⅰ. 정신보건 상담의 주요 초점

Ⅱ. 지적장애인 내담자에 대한 적용

Ⅲ. 대안으로서의 재활적(habilitative) 정신보건 상담

Ⅳ. 정신건강 재활상담 기법의 추가적 특성들

Ⅴ. Habilitative 정신건강 상담 전문가의 역할

Ⅵ. Habilitation과 Rehabilitation

Ⅶ. 맥락적 영향 평가

Ⅷ. 진단적 치료 공식 개발

Ⅸ.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