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챙김 명상이 군부적응 병사들의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및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Acceptance, Internal Control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of Maladjusted Military Soldiers
- 조용재(Cho Yong-Jae) 천성문(Cheon, Sung-mun) 차명정(Cha, Myung-Jeong) 이영순(Lee, Young-sun)
- 한국재활심리학회
- 재활심리연구
- 제19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2.08
- 295 - 316 (22 pages)
본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군부적응 병사들의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B시에 있는 육군 2개 대대에 복무중인 군부적응을 호소하는 병사 32명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주 1회 80분씩 8주 동안 실시되었다.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은 기존의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하는 스트레스 감소(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프로그램에,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하는 인지치료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의 치료적 요소를 추가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별로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및 군 생활 적응 검사를 사전-중간-사후-추후 실시하고, 통계프로그램 HLM 6.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에 참여한 병사들의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및 군 생활 적응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군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적응을 돕고 군 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acceptance, internal control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of maladjusted military soldiers.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existing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program adding therapeutic elemen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program. Participants were 32 maladjusted military soldiers from 2 army battalions in B City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17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80 minutes once a week for 8 weeks. Participants were given scales measuring psychological acceptance, internal control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before, mid, after and following up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internal control of maladjusted military soldi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ir military life adaptation also enhanced significantly. Therefore,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maladjusted military soldiers and consequently can be helpful in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them in military barracks.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