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3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서중심 상호작용 부모교육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Focused Interaction Training of Parents on the Target Behaviors of Children Who Are Non-adaptive to School

  • 73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을 경험하는 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정서중심 상호작용 부모교육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학교부적응을 경험하는 10명의 초등학생들과 그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총 5개의 집단에 각 2쌍의 부모-자녀가 배정되어 실험집단 아동의 부모들 4명에 대하여 정서중심 상호작용 부모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이들 중 2명의 아동에게는 놀이치료가 병행되었다. 비교집단 아동의 부모들 4명에 대해서는 문제해결중심 상호작용 부모교육이 진행되었고 이들 중 2명의 아동에 대해서 놀이치료가 병행되었다. 통제집단의 부모 2명에 대해서는 부모교육이 실시되지 않았고 아동개별놀이치료만 시행되었다. 프로그램의 사전?사후에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측정되었으며 SPSS WIN 19.0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정서중심 상호작용 부모교육은 부모가 평정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부모 자녀 상호작용의 대부분 영역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가장 많이 이끌어냈으며 부모가 보고한 아동의 문제행동들의 항목 수준에서도 가장 많은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냈다. 각 집단의 평정치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효과가 비교되었으며, 논의 및 결론에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부적응 아동과 관련하여 부모대상 프로그램의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focused interaction training program on the levels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with school related difficulties. Each 2 pairs of elementary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assigned to each 5 group. Emotion-focused interaction parental education was proceeded to 4 parents in experimental group, with or without individual play therapy to each 2 children. Problem-solving focused interaction parental education was proceeded in compared group of 4 parents also with or without individual play therapy to each 2 children. Individual play to the child only with therapist was proceeded to the control group of children without any type of parental education. Pre and post tests with parenting styl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 and problems index of children’s behavior were execut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v.19. Results are as follows: Emotion-focused interaction parental education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s of parents’ perceived parenting styles with most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s of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 and the several areas of parents’ rating levels of problems index children’s behavior. Conclusions were presented with the discussion of practical impacts of parental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children with school related difficult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