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452.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독교 용어의 번역과 사상의 토착화 연구 - 음역어 ‘예수’와 의역어 ‘하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culturation of Translation and Thought in Christian Terms - Focused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Jesus and the God -

DOI : 10.35902/URM.2020.60.115
  • 87

번역 성경의 독자는 성경 원문을 해석하고 이해한다기보다는 번역어를 기준으로 해당 언어의 사전에 풀이된 의미나 번역된 단어가 갖는 일상적인 의미로 성경을 이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자들은 서양 문화권의 사상을 자신들이 아직 잘 모르는 동양 문화권의 언어로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대하여 고민이 깊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은 번역을 위해 번역자들이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먼저 번역 성경이 출판된 다른 언어권의 용어를 도입하는 방식보다는 해당 문화권에 익숙한 기존의 단어와 문체를 활용하여 번역하는 토착화 방식을 취하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번역 초기의 번역자들은 해당 문화권에 새로운 것을 전달하는 사람인 동시에 자신들에게 낯선 문화권의 언어와 사상을 그 누구보다 성심껏 배우는 학습자들이기도 했다. 이는 사상과 의미의 전달을 언어적 번역으로 완성시켜야 하는 사역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의 선교지 언어에 대한 연구와 성경 번역은 해당 언어에 생명을 불어 넣는 작업이다. 번역은 일상 언어의 연구, 언어의 표준화, 의미의 상세화, 맞춤법 등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주시경, 장지영 등 초기 한국어 문법의 기틀을 잡았던 국어학자들이 서양 선교사들의 한국어 연구 결과물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20세기 초에 우리에게 학문성의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고, 특히 언어 연구에 있어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고자 하는 목표성이 뚜렷했기 때문이다. 유학자 중심의 한문과 어려운 국한혼용문이 문자 생활의 주류를 이루던 사회에서, 또 일본어가 기능적으로 더 지배력을 갖던 시대에 한국어 성경 번역은 우리에게 한글 사용의 긍지와 한국어의 품격을 심어주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갖기에 충분하다. 한국어 번역 성경은 한국의 역사 속에서 한국인의 영적 성장을 견인하였으며 현대 한국어의 문체 정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언어적 번역과 사상의 전달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초기 번역본부터 현대역본까지 대비하며 ‘예수’와 ‘하ᄂᆞ님’을 중심으로 국어사적, 혹은 어휘사적 연구를 진행한다. 일차적으로는 주기도문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표기 양상을 살피고, 주기도문에서 확인된 표기를 신약전서 전체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언어, 문화, 성경 번역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과 관계될 것이다.

The Korean people who read the Korean Bible would not interpret it in its original language but understand it in the ordinary or lexical meaning of its translated word. This caused the translators of the Bible into Korean language to suffer from the trouble of how to express the thought of their western culture in the language of oriental culture. This fact must have been a factor that motivated the translators, rather than to invent some new terms or employ the words of foreign cultures, to choose the method of linguistic contextualization in which they translate the Bible with the words and expressions and the aboriginal style of writings so familiar to the Koreans. The early translators of the Korean Bible were, obviously, foreigners who had to deliver something new in their culture for the Koreans and also to learn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Korean culture that was so unfamiliar to them, in order that they could realize the delivery of western thought to the Koreans via the linguistic translation. This paper exams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missionaries in early modern Korea as found in their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A translation is to breath into the native languages the breath of life. It directly involves in the issues of languages standardization, semantic mapping, orthography and so forth. Regarding this, it is obviou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done by the missionaries had influenced th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Korean grammar in its early stage, becau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re were only a handful of people who affected to our scholarship on Korean language and also because the Korean scholars of that time would not get any aid or influence from Japan in the field of linguistic study.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has a great historicity that it provides us with the pride of using Korean and the dignity of Korean, especially in the time when the Chinese language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complicated Korean-Chinese characters were mainly used, and when Japanese language prevailed in linguistic functi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did not just drive the religious or spiritual growth of the Koreans but also strongly impacted the modern style of writing in Korean to be settled. This paper intends, for see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delivery of thought and the linguistic translation, to examine the Lord s Prayer as the standard prayer in Christianity, comparing the various versions of the early Korean Bible, with the hope that this study will show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m. This study is immediately relevant to anyone interested in language, culture, and Bible translation.

1. 머리말

2. 번역어 ‘하’과 ‘예수’의 번역에 대한 논의들

3. 고유명사 ‘예수’의 음역 표기

4. 일반명사 ‘하님’의 고유명사화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