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20세기 초 북간도 민족교육운동과 그 사상적 기저

North Kando Ethnic Education Movement and Its Ideological Found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 56

중국에서 살고 있는 한민족-조선족은 유대인에 못지않은 교육열을 자랑하고 있다. 유대인처럼 전 민족적이고 안정적, 통일적, 장기적인 종교 신앙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은 보기 드문 특유의 교육에 대한 정신적 신앙을 일관해왔다. 이는 조선족의 독특하고도 개성이 다분한 문화 및 역사적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들은 교육을 통해 민족의 운명을 개선하고자 했고 민족해방과 자유의 도모를 교육에 기탁했다. 또한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을 희망하기도 했는바 교육은 그들에게 있어 단순한 인재양성의 문제만이 아닌 민족의 존폐와 사회의 안정 및 발전을 도모하고 진리와 정의를 수호하는 가장 중요한 도경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이 이주한 원점으로 돌아가 근원으로부터 조선족의 독특한 교육에 대한 신앙과 교육이 조선족 내지는 북간도지역에 대한 의미를 파악, 한 민족의 교육에 대한 독특한 인식과정 및 그 함의와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The way that the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love and value education is no less than the Jews, wheras the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are not quite the same as the Jews for they don’t have an overall nationwide steady, unified and long-term religion belief.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unique and individualized culture and history of the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They had been tried to save the Korean nation and the Korean people through education to pursue their liberity and freedom. They also wished to change the society through education for the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are not just an issue of cultivating people, but an essential way related with the nation’s survival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s well as to keep the truth and the justice. This study tries to go back to the original point of the migrating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A deep-rooted thought has been taken onto unique religion of education to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along with far-reaching significance of education to Korean-chinese minority ethnics and Yanbian area, to reveal the ethnic groups’unique cognition process of education, as well as their connotation and characteristics.

Ⅰ. 머리말

Ⅱ. 북간도 민족교육운동의 대 전제: 북간도 조선인사회의 형성

Ⅲ. 북간도 민족교육운동의 전개

Ⅳ. 북간도 민족교육운동의 사상적 기저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