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엽은 가곡 중 한 곡 내에서 한배와 선법이 다른 두 부분으로 구성된 악곡이다. 그래서 이 악곡은 한배의 변화에 따라 박의 미시적 타이밍이 어떤 양상으로 달라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는 곡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엽 중 여창이 부르는 ‘남하여’ 의 연주(창과 대금, 거문고, 장구반주)에서 이 과정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박의 미시적 타이밍은 장구의 타점들 간의 간격(IOI)으로 측정하였으며 같은 연주자의 3번의 연주를 비교하여 시간적 강세의 위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한배가 빠른 부분에서는 박이 비교적 균등하게 연주되고 느린 부분에서는 박 간 간격이 훨씬 유동적으로 연주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3회의 연주 모두에서 IOI 값이 우위를 보이는 박들을 조사해보니 시간적 흐름 속에서 틀을 형성하고 있는 주요 박들이 박자 구조, 선율묶음의 구조(그루핑 구조), 사설의 음보 단위와 관계하여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한배의 변화는 이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기악연주 부분과 창이 포함된 부분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기악연주 부분에서는 1박과 12박을 중심으로 한 박자 구조가 연주의 시간적 흐름에서 중요한 기둥으로 나타났으나 가창이 포함된 부분에서는 선율묶음의 구조가 박자 구조보다 박의 타이밍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로 인해 12박의 1박에 대한 우위성은 더 강조되었으며 3박이나 4박이 중요한 박으로 부각되었다. 결론에서 이 결과의 음악이론적 의미를 논의하였고 해외에서 수행된 다른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덧붙였다.
Banyeop ‘Nam ha yeo’ for female singer (accompanied by daegeum, geomungo, and janggu)is a piece composed of two parts, one of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ther in terms of tempo and mode. Thus, It can be observed what different micro-timing pattern on the beat-level reveals in the temporal fluidity of the 16-beat jangda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o. The micro-timing on the beat-level is measured by the interval of inter-onsets(IOI) of janggu, and the location of the temporal stresses is observed by comparing IOI values of three performances by the same player. In the high tempo section, the beat tends to be played relatively evenly, but in the slow section, the intervals between beats are much more fluid. Investigating the beats showing the higher IOI-value in all three performances, no change on the micro-timing pattern was found with the change of tempo, and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art of the instrumental music (prelude) and the part including the vocals. In the instrumental part, the metrical structure centered on the 1st beat and 12th beat appears, while grouping structure has a greater influence on shaping time of the performance than metrical structure in the vocal-including part. As a result, the advantage of 12th beat is emphasized, and 3rd or 4th beat became more important than 1st since vocals comes in. In conclusion, we discuss music-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result,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other studies conducted abroad.
1. 서론
2. 반엽 ‘남하여’의 장단구조와 사설배치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