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99.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정과교육에서의 직업역량 강화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 -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과 가사실업계 직업교육의 변화 방향 탐색 -

Funda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methods of vocational competency enforcement in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revision of the current NCS based vocational highschool education curriculum and investigation in change of direction in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

  • 91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가정계 직업교육과 관련한 경제ㆍ사회적 환경 변화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기반 교육과정 개정과 연계한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주로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전문가 자문 및 공청회 개회 등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가정계 직업교육과 관련한 주요 환경 변화 요인은 인구 구조의 변화, 성별 경제 활동의 변화, 세대 구성의 변화, 통신 기술의 변화, 생활 기술의 혁신 등으로 집중되었다. 이들 변화 요인은 관련 산업의 혁신과 생활의 변화, 인력의 수요, 각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의 변화 등을 예고하고 있다. 둘째, 가정계 직업교육 운영 현황 분석 결과, 2013년 현재 가사실업계열 학교는 전체 특성화고의 9.4%를 차지했으며, 8개 기준학과가 분야별 전문화, 특성화 및 연계 등을 통해 137개의 개설 학과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졸업생의 진로현황은, 기준학과별로 차이가 있으나 전체 취업률은 44.7%로 진학률 41.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10년(전체취업률 16.9%, 진학률 75.2%)에 비해 두드러진 변화로 이는 특성화고의 취업중심 교육으로의 정책 변화가 가져온 성과로 해석된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과 가정계 직업교육의 방향에서는 정부의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개정 배경, 개정의 방향과 중점 사항을 고찰하고 가사실업계열의 계열 재구조화(안)과 기준학과 개편(안), 후속 연구에서의 전제 사항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o enforce vocational competencies. It was carried out in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cent economical and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and its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the vocational training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t seeks change in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based on revisions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 method of study was mostly through reference and data analysis, professional advisory and public hearing.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nvironmental change factors in relation to vocational training have been integrated to the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gender related economic activities, generation composi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innovation of living technique. These change factors are forecasting innovations in related industries, lifestyle changes, demand for manpower and changes in capabilities required for each specific profession.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home economics education training, vocational home educations high school accounts for 9.4% of the total number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here 8 standard departments are specialized in and characterized into 137 different department names. Despite differences among departments, overall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were measured 44.7%, which rates above the entrance rate of 41.9%. These numbers show great change since 2010(overall employment rate 16.9%, entrance rate 75.2%), a meaningful outcome resulting from changes in policy from the previous employment-centered education system. Third, NCS based on high school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system revision and investigations in change of direction in vocational home economic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ckground for revision from the development of NCS. It also provides proposals for restructuring division of current classification and departm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propositions for furthe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고찰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