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205.jpg
KCI등재 학술저널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교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variables effecting on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 Focusing o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 79

본 연구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와 교사관계 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연구대상은 기초생활수급 계층, 차상위계층, 차차상위계층의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들이었다. 조사도구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 · 교사관계 질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또래관계의 질,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신뢰,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 교사와 우호적 관계가 제시되었다. 둘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의 질,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요인은 부모의 애정 및 감독, 양육태도의 일관성, 또래로부터의 비소외감, 의사소통 및 신뢰, 교사와 우호적 관계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빈곤가정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 · 복지프로그램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on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639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ly poor, the secondary poor, and the thirdly poor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s(KCYP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we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teacher relationships in order and the specific variables enhancing adolescents self-resilience were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peers, trust with peers, parents love, reasonable explanation, supervision, and teacher-adolescents friendly relationships. Secondly, the poor adolescents self-esteem were influenced b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the quality of teacher relationships in order and the specific variables enhancing adolescents self-esteem were parents love, supervision, inconsistency, senses of non-alienation among peers,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peers, trust with peers, and teacher-adolescents friendly relationships.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 · welfare programs targeting poor adolescent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