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03.jpg
KCI등재 학술저널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미술자기표현과 사회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Self-Expression-Focused Group Art Therapy on Sociality And Problem Behavior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1,103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미술자기표현과 사회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 복지관의 재활 프로그램에 등록한 지적장애 성인 중 만19세∼22세 10명을 집단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S 복지관에서 주 1회 60분씩 총 21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미술자기표현(Art-Self Expression)능력평가와 사회성 기초기능 척도, 그리고 성인행동평가 척도(ABCL)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미술자기표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미술자기표현 능력 척도의 사전․사후의 비교에서 평균점수가 높아졌고 집단 구성원의 개별적인 내용적․음성적 자기표현이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사회성 기초기능 척도에서 언어적․비언어적 사회성의 향상과 대인관계에 대한 문제 행동이 감소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성인행동평가 척도의 문제행동과 내재화, 외현화에서 사전보다 사후 평균점수가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추후 검사에서도 유지되었다.

This study involved runn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self- expression so that we could assess whether changes in art self-expression through group art therapy affect sociality and problem behaviors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he study targets were a single group of 10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19 to 22 years old.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for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21 sessions at the S welfare Center.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performed respectively using the fllowing study tools: art self-expression capability assessment, basic function index of sociality, and adult behavior assessment scale test. The summarized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art-self express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Second,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sociality amo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follow-up test were the same as the post-test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