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 교복변형, 헤어스타일, 화장을 중심으로 -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tar-Entertainer Imitation - School Uniform Modification, Hairstyle, and Makeup -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24권 제3호
- : KCI등재
- 2012.09
- 175 - 189 (15 pages)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외모관리행동 즉, 교복 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에 거주하는 여자고등학생 379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북지역 여고생들은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적극적 수행형, 심리적 욕구형, 연예인 호감형으로 분류되었다. 연예인 모방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높았던 적극적 수행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 경험이 가장 높았으며, 드라마속 연예인이 입고 나오는 교복스타일을 따라해 보고 싶어하고, 연예인 교복스타일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 있는 등 연예인 교복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최신 유행헤어스타일을 인식하고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선호하는 등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매일 기초화장을 하고, 화장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등 화장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예인 모방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낮았던 연예인 호감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바람직한 매스미디어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교사들은 청소년들에게 합리적인 모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면 의생활지도에 있어서 효율적인 교육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tar-entertainer imitation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school uniform modification behaviors, hair style care behaviors, and make-up behaviors. For this research, data of 379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llabuk-do was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In the research, based on the type of star-entertainer imitation,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tive followers, psychological followers, and passive followers. The research showed that active followers, who exhibited imitation behavior most frequently and had the highest imitation desire, were most frequently involved in school uniform modification. Inclined to imitate the school uniform styles of star-entertainers in soap operas, they modified their school uniforms. The active followers were also enthusiastic about hair care, were well aware of trendy hair styles, and demonstrated a fondness for star-entertainer hair styles. In addition,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make-up activities. They put on basic make-up everyday and exhibited a desire to learn about make-up styles. However, passive followers, who showed the least frequent imitation behavior and the lowest imitation desire, were not as keenly involved in school uniform modification behaviors, hair style care behaviors, or make-up behaviors. The study concludes that by providing teenagers with systematic education on desirable mass media and educating them on proper behavior,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for guidance on clothing habits can be deriv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