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495.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1학년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 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 2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의생활 단원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12종과 7차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정생활문화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전통문화 , 한복의 변천사 , 한복의 색채 , 한복의 문양과 소재 , 한복의 세계화 6개의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주제에 대해,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48종의 수업자료(학생자료 22개, 수업자료 22개, 교사 자료 4개)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청소년들의 전통의생활 문화에 대한 인식도는 사진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전통 의생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외래문화에 대한 수용, 전통 문화에 대한 긍정적 자세 등 전통 문화 인식 고취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의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전통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의생활 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더 다양한 전통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뿐 아니라 식생활, 주생활 분야에도 전통문화 교수·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고 적용되는 등 다양한 전통문화 계승 교육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e investigated youth 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order to promote it, and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to clothing life chapters. We analyzed 12 types of high school freshman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selected 6 major subjects of learning traditional culture , History of Han-bok , colors of Han-bok , pattern & material of Han-bok , globalization of Han-bok related to change of home life & culture chapter. Also we developed 6-perio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and 48-teaching materials(22 for students, 22 - for classes, 4 for teachers) and applied it to usual classes. The mean score of youth 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re-test. We concluded it was highly efficient in the youth 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as right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lothing life cultur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positive attitude i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educ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so we recognize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rough it. We suggest that various themes on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reinforced. Also we need various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research as field of food life. house life and study Korea s cultural heritage.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