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29.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y Task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7th Graders

  • 8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에 제시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가정」교과서 3종을 표집하고, 이 3종의 교과서 전개 부분에 수록된 활동과제를 선별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93개의 활동과제 분석을 위해 김영정(2005)의 ‘비판적 사고 9요소 9기준’을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를 위한 9개의 문항을 개발하여 분석의 준거로 사용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출판된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 중 임의로 표집된 3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활동과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은 총점이 66.8점으로 나타나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의 하위 범주별로는 논증적 사고(83.9점), 분석적 사고(78.1점), 변증적 사고(38.3점) 순으로 나타나, 특히 변증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이 단원별로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의 자기관리(77.8점)’, ‘청소년의 소비생활(75.2점)’,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71.1점)’ 단원의 활동과제는 다른 단원에 비해서 비판적 사고를 잘 유도하고 있는 반면, ‘옷차림과 자기표현(61.4점)’, ‘청소년의 발달(60.0점)’, 그리고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59.6점)’ 단원의 활동과제는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비판적 사고 수준이 탐구활동(75.7점), 토의ㆍ토론(74.6점), 실천활동(65.4점), 해보기(50.7점) 순으로 나타나 활동과제 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활동과제 유형 중에 탐구활동 유형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는 가장 효과적인 반면, 해보기 유형은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y tasks include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sampled 3 kind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or 7th graders, selected activity tasks contained in the textbooks, and classified them by type. A total of 93 activity tasks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9 questions on critical thinking prepared based on Kim Young-jung’s ‘9 Elements and 9 Standards of Critical Thinking.’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y tasks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was 66.8, which was not high enough to induce learners’ critical thinking. Among the sub‐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the score was high in order of argumentative thinking (83.9), analytical thinking (78.1), and dialectic thinking (38.3). As in the results, the activity tasks were particularly inadequate for inducing dialectic thinking.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uni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units. Activity tasks in Units ‘Adolescents’ Self‐management’ (77.8), ‘Adolescents’ Consumption Life’ (75.2), and ‘Adolescents’ Sex and Peer Relationship’ (71.1) induced critical thinking more effectively than those in other units, but activity tasks in Units ‘Clothing and Self‐expression’ (61.4), ‘Adolescents’ Development’ (60.0), and ‘Adolescents’ Nutrition and Meals (59.6) were inadequate for inducing critical thinking.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activity task type, the level was high in order of Inquiry Activities (75.7), Discussions (74.6), Practical Activities (65.4), and Trials (50.7),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at is, among activity task types, Inquiry Activities were most effective in inducing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Trials were least effectiv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