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에 나타난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노인주거에 관한 교과서 집필 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생활 단원의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의 총 분량, 참고자료, 활동자료, 정리, 그림, 사진, 평면, 도표의 분량은 교과서별로 편차가 커서 앞으로 교과서 개발 시는 이의 배분을 적절히 하도록 한다. 시각자료는 노인과 노인주거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발할 수 있도록 선정한다. 활동자료는 학습자가 노인주거를 가까운 장래의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실천적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요소별로 중복되는 부분의 통합이 필요하며, 노인주거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지 않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기술이 요구된다. 교과내용은 노인의 주거 내부 환경뿐만 아니라 외부환경과 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며 장래의 인구구성 변화 및 자녀와의 동거 경향을 반영한 대비 내용이 필요하다. 노인주거 평면은 한국적 특성을 반영한 평면,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평면 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lderly housing in the unit 「Family Life & Housing」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9th grade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illustrations, pictures, floor-plans, graphs and tables in current unit 「Family Life & Housing」varied widely among textbooks and some didn t even contain these informations. Illustrations and pictures which are suit to the content and which contain positive image of space and living should be chosen. Second, most of the contents about elderly housing were concentrated on the life cycle, three-generation housing and universal design, discussed in chapter ‘utility of living space.’ The unification of overlapped contents and description which don t have stereotype about elderly housing are needed. Not only the interior environment but also the exterior environment of the elders and life-support service for them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nge of future population composition and the ratio of three-generation household are required. The elderly housing floor plan needs to be diversified in quantity such as ones which reflect the Korean characteristics or ones which enable person an independent lif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