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51.jpg
KCI등재 학술저널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Making Class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 10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직물을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단원에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를 적용하여 전통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에서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후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도와 태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매우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수업을 실시한 후 전통이미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통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매우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천연염색과 조각보 제작을 통한 수업은 학습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통이미지 인식의 변화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 자료들은 교육현장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interest and attitude of student s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o recognize the change of re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through Natural Dyeing and Jogakbo making on the unit of making living goods with fabric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n first year high school. The abridged result of study following this: First, in Natural Dyeing and Jogakbo making, teaching-learning plan applying LT cooperative studying and 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Second,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lesson pla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ange in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 about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was positively improved. After executing the class on Natural Dyeing and Jogakbo making, the interest and concern about tradition were very positively upgraded through the result analyzing the change of re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Through these results, The Teaching-learning plan and learning materials would show high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educational contents about traditional cul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After executing the class on making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the learning interest degree and attitude was very positively upgraded, and the re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had been changed to the active and positive recognition.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