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 환경 및 시설, 설비 현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door Environment and Status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of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 및 시설설비 현황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연구방법은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채택하였다. 현장조사는 제주특별자치도내 중학교 41개교 중 10개교를 선정하여 2006년 8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도, 습도, 조도, 교구실태를 조사하였고, 설문조사는 제주특별자치도 41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2005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1월 23일까지 우편을 통해 조사하였다. 현장측정을 하면서 회수된 설문지들을 포함하여 총 95부중 64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한 설문지 중 유효한 6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분석을 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교사들은 가정실 크기에 대해 불만을 느끼고 있지만 가정실의 크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가정실 크기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조사 결과 가정실의 여름겨울철실내온도는 부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각각 설치되어 있는 형태의 작업대, 개수대, 가스대 형태는 비효율적이다. 넷째, 환기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은 많지만 환기는 잘 이루어지지 않아 환기시설이 미흡하다. 다섯째, 소화기 외에 다른 안전시설이 미비하므로 안전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구보유율이 매우 낮으며 교구가 조리기초 영역에 편중 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understand problems existing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findings are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 of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tudy method employs on-site research and a survey. The on-site research was conducted about temperature, humidity,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status of teaching instrument in 10 out of 41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August 16 to September 30, 2006. Meanwhile, the survey was implemented by mail for 95 teachers in charge of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41 middle schools in Jeju from November 1 to 23, 2005. 64 questionnaires out of total 95 were collected, including thos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on-site research. Finally, 61 questionnaires which were effective among the answered ones were used for analysis.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ile analysi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조사결과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