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과 및 기술 · 가정 교과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Appropriateness of Clothing & Textiles as Educational Contents in Practical Arts or Technical Education · Home Economics in the 7th Curriculum of Korea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18권 제3호
- : KCI등재
- 2006.09
- 81 - 95 (15 pages)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 중등 실과 및 기술 · 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량, 이해도, 흥미도 그리고 요구도를 교육 내용 요소별로 분석하여 그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경기도 초 · 중 · 고 남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질문지를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 · 중 · 고 남녀학생들의 50%이상이 초 · 중등 실과 및 기술 · 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의 학습량은 적당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남학생들은 반바지 만들기 등의 실습과정에 대해 학습량이 많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의생활 교육 내용에 대한 초 · 중 · 고 남녀학생들은 모두 뜨개질, 재봉틀, 옷만들 및 생활용품 만들기 등 실제로 작품을 제작해야하는 실습영역에 대해 이해도가 낮았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은 재봉틀을 이용한 실습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낮았으며 이는 학습량이 많다고 하고, 이해도가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 중학생들은 학습량이 많고, 이해도가 낮은 반면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의 흥미도가 보통이었다. 넷째, 학생들의 요구도는 필요하다’와 보통’이었으며 교육내용 중 실습관련 내용에의 요구도가 매우 낮았다. 초 · 중등 실과 및 기술 · 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량,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간에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학습량과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 간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등학생에서는 이해도와 흥미도, 요구도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ppropriateness of clothing & textiles as educational contents in practical arts or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7th curriculum. The factors of appropriateness were the amounts of learning,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interest and requirement on the educational content recogniz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evaluation shee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crossing analysis using SPSSWIN 12.0 progra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50%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amounts of learing of clothing & textiles proper. But boy students of middle school recognized making clothes’ in practice course too heavy. Second, It were from easy to difficult that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 textile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ood both making cushion’ and sewing machine theory and practice’ difficult.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ood basic sewing for repairing clothes’ and making clothes’ difficult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thought making pillow’ and making bag’ difficult. All students understood practice courses hard. Third, the degrees of interest showed from interest’ level to not interest’ level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as interest’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mmon’ in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 requirem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 necessary’ level to common’ level. Editional contents such as learning sewing machine’, making cushions’, making clothes’, and making pillow-cover and bag’ were low in the degrees of requirement.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earning and the each level of understand, interest and requirement of students was indirect. On the other hand, Among the level of understand, interest and requirement were direct in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