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1920-30년대 모성담론 에 관한 연구 -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otherhood discourses during 1920s and 1930s - Focusing on mothering education written in 『Shinyeosung』

  • 113

이 연구는 『신여성』에 실린 모성담론을 통해 식민지 시기 어머니 노릇의 구체적 내용 및 그 특징과 함께 모성 담론의 논리적 토대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당대 가장 대표적 여성잡지인 『신여성』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여성』에 실린 모성담론의 내용은 ① 여성의 어머니됨, ② 아동관, ③ 우생학, ④ 아동양육 및 교육, ⑤ 아동질병 및 간호, ⑥ 임신과 출산의 내용으로 나눠지며, 이것은 당시의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과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모성담론의 집필진은 문인을 포함하여 대부분 의사·박사와 같은 전문가(experts)들이었다. 둘째, 모성담론의 주장에 당위성 을 부여하는 논리적 토대는 ① 어머니로서 여성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여성교육의 주장, ② 모성은 여성의 본질적 특성이라는 성과학의 주장, ③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내재된 위험과 질병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의함담론의 주장이 있었다. 셋째, 식민지 시기 모성담론의 특성은, ① 잡다한 어머니 노릇의 나열, ② 자녀에 대한 세심한 관찰에 대한 강조, ③ 질병이 내재된 양육에의 위험성 강조, ④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어머니 노릇의 제시, ⑤ 새로운 어머니 노릇으로 강조되는 학부모 역할로 정리할 수 있다.

This thesis attempts to describe motherhood discourses in colonial period based on analysing 『Shinyeosung』(1923-1934). The motherhood discourses written in 『Shinyeosung』 were generally divided as follows; ① women s motherhood ② recognition of the children ③ eugenic ④ care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⑤ disease of the children and their nursing ⑥ pregnancy and delivery. Main writers were also experts like medical doctors and professors. It was science that contributed to highlighting the greatness of mother. Science put emphasis on how pregnancy, delivery, care are challenging and dangerous job. Accordingly, every woman, regarded as a potential mother, was requested to equip herself with all kind of skills in care. As new women s role were restricted within private area, they were cut off from various public issue. This type of motherhood became an essential part of modern family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 국가형성의 전략적 지점으로서의 여성의 어머니됨.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