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 · 실업계 고둥학교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현행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 설문조사, 연담조사 가 활용되었으며. 설문조사는 교사용과 학생용을 개발 · 실시하였으며, 결과 분석에는 통계 패키지 SPSS ver 10을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진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 · 실업계 고풍학교 교육의 발 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사 · 실업계 분야 직업교육과 관련되는 사회 · 경제적 변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가사 · 실업계 교육의 변화, 외국의 가정계 직업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가사 · 실업계 고동학교의 교육 실태 분석을 위하여 학교 및 학생 현황과 가사 · 실업계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가사 ·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의 주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 천반과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동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가사 · 설업계 고동학교 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운영체제 (3개항), 교육과정 운영 (5개항). 교원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 (4개항), 행 · 재정적 측면 (3개항) 으로 구분하여 총 15개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and surveying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and their needs toward the present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ference analysis. questionnaire and interview method. They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outlin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some data for examining the development trend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were collected especially in terms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change related to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and some trend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Second. the real conditio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al conditions of curriculum management in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s. Based on this result.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survey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and their needs. The items consisted mainly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ird. some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were proposed in terms of management system(3 items), curriculum management(S items), security of teachers and their expertise(4 items). and administration and finance(3 items).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