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계적인 다도교육이 청소년기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마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으로서 다도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학교교육에서 가정교과과정과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활성화되고 정착되어, 다도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S고등학교의 여학생 16명을 실험집단으로 3월 14일부터 4월 18일 까지 총 10차시 20시간의 특기·적성 다도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도교육은 청소년기에 있는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다도교육 실시 전과 후의 안성발달을, 사전·사후 검사로 비교 분석한 결과 인성영역 중 정서적 안정성, 배려성, 절제성, 예절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다도교육이 청소년기 여고생의 인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 시키는 인성교육으로써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둘째, 다도교육을 받은 후 자녀의 인성발달에 어머니가 만족하고 있음을 알았다. 다도교육이 예절바른 생활을 하게하며,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등 인성발달에 도움을 주므로 자녀들에게 다도교육이 필요하다고 다도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어머니 100%가 응답하였다. 셋째, 설험집단의 학생은 다도교육으로 자신들의 인성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된다고 인식하였다. 다도교육 후 자신들의 행동이 조심스러워지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려고 노력하는 등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성이 발달함을 스스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다도교육이 필요하며, 친구나 후배에게도 다도교육을 받도록 권유하고 싶다고 하였다. 넷째, 다도교육을 지도한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들을 관찰하고 면접한 결과. 교육 시간이 경과되면서 학생들이 정서적으로 차분해지고, 남을 배려 할 줄도 알게 되었다. 행동도 진지해지고, 자세도 바르게 되었으며 인내성도 많아지고, 예절 바르게 행동하려고 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다도교육은 우리의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게 하고 배우고 익힐 수 있으며,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태도·행동·예절면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여고생에 대한 연구였지만 남학생들에게도 같은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어, 학교교육에서 가정교과과정과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활성화되고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ntribution of Dado education to personality development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personality development was measured with the change in emotional stability. consideration, politeness. and temperance before and after a series of Dado education program to 16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ten times (20 hour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udents personality was found. Students perceived their positiv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through this program and their mothers were favorable to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fter the Dado education. This study implies that Dado education can be a valuable means for personality development in youth. A suggestion was made for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to apply Dado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해석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