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육에서 여 교수자의 발화에 담긴 여성 편향적 지도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남녀 아동의 성차와 미술 교원의 여성 편중 현상을 중심으로
An Action Research for Improvement of Female-Biased Instruction in Female Instructor’s Utterances During Art Educa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Female Bias of Art Teachers
본 연구는 미술 활동에서 나타나는 남녀의 성차와 미술교원의 여성편중 현상의 영향 중 하나로 야기되는 교수자의 여성 편향적 지도를 개선하기 위한 실행연구로 4명의 모집된 7~9세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1차실행[0차시] 후, 전체 적인 수업 방향을 구체화하며 2차실행[1·2·3차시], 3차실행[4·5·6차시], 4차실행[7·8차시]으로 구분해 단계마다 비디오 녹화 본을 전사해 수업 중 담화를 분석하고 교사의 발화를 반성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미술 활동에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담화와 완성된 작품을 통해 발견되었다. 둘째, 교수자가 학교기관에서 이상적인 학생의 태도로 정의하는 형태의 피드백을 통해 미술수업 중 ‘여성성’을 전이하는 여성 편향적 지도가 발견되었다. 이 발화는 주로 남자아이 에게 행해졌으며, 교수자가 ‘인지’한 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이 도출된 연구결과로 여교수자가 남녀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내포된 성 전형적인 발화를 통한 지도를 한다는 사실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미술수업에서 여교수자의 성 편향적 지도와 성 전형적 지도를 스스로 성찰하고 인지하면서부터 개선이 시작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argeting four male and female children aged 7 to 9, this action research aims to improve gender differences in art activities and an instructor’s female-biased instruction affected by the female bias of art teachers. After a pre-class(Session 0), the overall instruction plan was designed. During the second class(1·2·3), the third class(4·5·6) and the fourth class(7·8), recorded videos were transcribed to analyze discourses and reflect on the teacher’s utterances. First, discourses and completed works showed gender differences. Second, there was a female-biased instruction to convey ‘femininity’ through feedback defining ideal behaviors of students at school. The utterance was mostly provided to male children and after the teacher’s ‘perception’, it was improved. A new study result is that the female instructor made gender-typed utterances containing sexual stereotypes to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demonstrating that when a female instructor introspects her female-biased instruction, improvement start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수업실행 분석 및 교육적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