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803.jpg
KCI등재 학술저널

‘놀이’를 다루는 예술가의 미술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연구

Five Artists on Play and Their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DOI : 10.25297/AER.2019.72.41
  • 207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사용되는 ‘놀이’의 개념을 확장시키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미술과 관련한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놀이’ 관련 재재를 내용 분석하였다. 그 다음, ‘놀이’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이에 관해 인터뷰나 텍스트 등을 통해 “놀이”라는 단어를 직접 언급한 바가 있는 다섯 예술가, Nina Katchadourian, Oliver Herring, Allan Kaprow, Numen/For Use, Carsten Höller의 작업을 살펴보고 ‘놀이’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 비보 코딩을 활용하 여 각 예술가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놀이’와 관련한 미술교육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미술교육에서 확장된 개념의 놀이를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마주침의 공간 을 제공하며, 마법의 동그라미와 같은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시간적, 공간적 질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놀이터와 같은 교육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놀이는 개인적이거나 협업적 형태를 띄며,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교사 등 전 연령 의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concept of “play” used in art education. To do this, I analyze the content of “play”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Next, I delve into five artists – Nina Katchadourian, Oliver Herring, Allan Kaprow, Numen/For Use, Carsten Höller, - who all created works related to play and mentioned the term “play” in their interviews or texts. Using in vivo coding, I present the data in a manner that reveals diverse voices of each artist. Lastly, these are the implic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derived from this study. Play in a broader concept in art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an encounter, a magic circle blurs art and life, and playgrounds in their own school settings. Also, play can be personal or collaborative, and people of all age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ir teachers are able to enjoy and participate in play.

I. 서론

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속 ‘놀이’ 내용 분석

Ⅲ. ‘놀이’란 무엇인가: 예술가의 다양한 목소리로 듣기

Ⅳ. 예술가들의 놀이와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V.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