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미국 공통 핵심기준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반영 양상 비교

  • 537

이 연구는 미국 공통 핵심기준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반영 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미국 공통 핵심기준 중 ELA(English Language Arts)의 읽기, 쓰기, 말하기·듣기, 언어 영역의 성취기준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가 반영된 내용을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이 중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와 비슷한 시기인 K-5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하며 생산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 측면, 미디어 활용 측면, 미디어 생산 측면을 기준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반영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읽기 영역에서 비판적 이해와 관련된 내용을 제시했다. 그러나 미국 공통 핵심기준에서는 말하기·듣기영역에서 관련 내용을 제시한 반면, 국내 교육과정에서는 해당하는 내용이 없었다. 둘째, 미디어 활용 측면에서는 공통적으로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미디어 활용 성취기준이 제시되었다. 국내 교육과정에서는 문법·문학 영역에서도 미디어 활용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제시되었다. 셋째, 미디어 생산 측면에서는 쓰기 영역에서 미디어 관련 성취기준이 제시되었다. 미국 공통 핵심기준에서 학년별로 익혀야 하는 쓰기 기술이 제시된 반면, 국내 교육과정은 미디어에 통한 맥락에 초점을 맞춘다.

Ⅰ. 서론

Ⅱ.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Ⅲ. 미국 공통 핵심기준의 체제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제

Ⅳ. 미디어 리터러시 반영 양상 비교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