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도시와 촌락에 대한 인식

The Recogni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a City on a Urban and Rural Area

  • 5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분석법 질문지를 활용하여 도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들의 도시와 촌락에 대한 전체적 인식을 조사 및 비교하고 성, 학년, 촌락 경험 유형에 따라 분석한 후, 면담을 통해 도시와 촌락 인식의 주요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직접 지도한 도시지역 초등학교의 3학년과 5학년 학생들이다. 의미 분석법에 사용된 측정 형용사는 문헌분석, 전문가 검토, 학생 검토 과정을 통해 선정하고 도시와 촌락 인식의 차이는 T검정을 실시하고 학년, 성, 촌락 경험에 따른 인식차이는 분산 분석을 실시했다. 질문지 분석 결과 개인적 의미를 알아볼 필요가 있는 주요 형용사는 면담을 통해 의미를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도시와 촌락인식에 대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들은 도시와 촌락에 대한 인식의 대상을 다양한 차원과 복합적 시각으로 보면서 자신의 경험과 정서를 결합하여 함축적 의미를 생성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은 직접 경험뿐만 아니라 매체를 통한 간접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했다. 둘째, 특정 지역에 대한 직접적 체험은 초등학생들에게 구체적 인식과 정서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했다. 촌락 생활을 직접 경험한 초등학생들은 변화한 현대 촌락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활 경험 속의 정서적 이미지는 유대감, 자연에 대한 인식, 하고 싶은 활동의 결정에 영향을 받았다. 셋째,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도시와 촌락의 특징은 학문적 관점에서 본 도시와 촌락의 특징과는 달랐다. 초등학생들은 도시경관의 물리적 규모가 크다고 해서 복잡하다고 인식하 지 않았으며 도시 인식에 학원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촌락의 경우 자신의 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라면 불편하다고 여기지 않거나 심지어 편리하다고 인식하기도 하며 자신이 경험하고 느낀 활동을 기준으로 촌락의 자연 환경과 생산 활동을 인식하고 있었다.

Ⅰ. 서론

Ⅱ. 도시와 촌락 인식의 관점

Ⅲ. 연구 방법

Ⅳ. 결과분석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