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청년구직자의 취업프로그램 참여가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경남지역 청년취업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Effects of Young Job Seekers Employment Program Participation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 187
150925.jpg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의 청년구직자를 대상으로 청년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만29세의 청년구직자를 대상으로 총 30시간의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년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구직자들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다양한 취업 프로그램을 다룬 기존 연구들에 비해, 실질적인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구직자를 대상으로 총 30시간에 이르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이는 최종 학교를 졸업한 청년구직자들에게 막연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아닌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취업을 지원하는 것의 필요성을 보여 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ualness of the influence of youth employment support program, participa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targeting on youth job-seeker residing age 19 to 29 residing in Gyeongnam region. Theoretical background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was studied, verification scale was chosen based on the study,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youth employment support program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youth job-seeker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youth self-efficacy. This study has its distinction in that a total of 30 hours of program was proceeded to the effective youth job-seekers and verified its effectualness. The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running a structured and concret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f not an ambiguous career guidance and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employment suppor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