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126.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주 충효동고분군의 조영시기와 계통

Construction Period and Genealogy of Gyeongju Chunghyo-dong Tombs

  • 566

신라의 묘제 중에서도 4~5세기를 대표하는 수혈식적석목곽분의 뒤를 이어 등장하는 횡혈식석실분은 주로 6세기 이후 단계에 조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횡혈식석실분에 관한 연구의 쟁점은 조영시기와 변천, 외래 요소의 유입경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쟁점들을 비롯해, 묘제를 통한 당시 신라의 시대상황을 풀기 위해서는 충효동고분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발굴·조사된 대부분의 무덤이 횡혈식석실분으로 이루어진 충효동고분군은, 경주지역의 횡혈식석실분 중에서도 이른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신라가 횡혈식석실분을 조영하는 시기와 조영집단, 외래요소가 신라 묘제에 투영되는 과정 등을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편년과 계통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충효동고분군의 조영시기 및 계통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각 고분의 특징 및 출토 유물의 양상을 파악한 후, 연대 추정이 가능한 자료와의 비교 등을 통해 그 조영시기와 계통을 검증했다. 그 결과, 충효동 고분군은 총 4개의 그룹을 형성되어 있고, 6세기 중엽에서 말에 이르기까지 시기 차이를 보이면서 단계별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A그룹(제1·2·3호분)은 6세기 중엽에, B그룹(제4·5·6호분)은 6세기 후엽에, C그룹(제7·8·9호분)과 D그룹(제10호분)은 6세기 말에 조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그룹에는 가장 위상이 높은 무덤들이 각각 존재하는데, A그룹에서는 제2호분이, B그룹에서는 제5호분이, C그룹에서는 제7호분이, D그룹에서는 제10호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검토의 결과, 횡혈식석실분으로 이루어진 충효동고분군은 고구려의 강한 영향을 받아 조영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증명해주는 자료로서 호우총 출토의 호우나 호태왕비의 비문, 태환이식이나 등자와 같은 유물들이 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구려의 묘제가 신라의 묘제 변화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점은, 당대의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이와 같은 충효동고분군에 관한 연구를 통해, 공반된 토기류나 기와류, 철제 무기류와 같은 유물들의 연대도 추정이 가능해져, 향후 신라의 고고학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which follows Shilla’s wooden chamber covered by stone and earthen mound representing the 4th and 5th centuries, is known to have been mainly built in the post 6th centuries. Issues in the research on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nclud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formal change, an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elements. Including these issues, research on Chunghyo-dong Tombs is needed to explain the situation of Shilla Dynasty through tombs. Most of the tombs of Chunghyo-dong are consist of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and is known to be in the early stages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n Gyongju area. It is because of Shilla’s important position in discussing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the construction group, and the process of foreign elements being projected to Shilla’s tumb. This study is about chronology and genealogy of Shilla’s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and is aimed at uncover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genealogy of Chunghyo-dong Tombs. Afte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mb and the excavated relics, the timing and system of the construction were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data available for dating. As a result, it is estimated that the Chunghyo-dong Tombs form four groups, and were contrasted step by step, showing time differences from the mid 6th century to the late 6th century. Group A (No.1·2·3) was built in the mid 6th century. And Group B (No. 4·5·6) was built in the late 6th century. Group C (No.7·8·9) and Group D (No. 10) were built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Also, each group has tombs with high rank. Tomb NO.2 has the highest rank in group A and tomb No.5 in group B, tomb No.7 in group C, tomb No.10 in group D. Consequently, Chunghyo-dong Tombs, composed of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can be found to have been built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Goguryeo. So far, there are relics such as the Hou and The King of Kanggeto’s tombstone, Hollow thick erings, and stirrupup outlet has been presented as proof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hilla.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is study, the strong influence of Goguryeo’s tomb on the change of Shilla’s tomb is significant and it informs u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Shilla. These studies have made it possible to estimate the ages of the relics such as potty, loof tile, and iron tool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rchaeological studies of Shilla.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의 정리

Ⅲ. 경주 충효동고분군의 구조 및 출토유물

Ⅳ. 경주 충효동고분군의 조영시기

Ⅴ. 경주 충효동고분군의 계통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