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127.jpg
SCOPUS 학술저널

음악적 읽고 쓰기를 위한 코다이 교재의 단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Sequence of Kodály’s Material for Musical Reading and Writing

DOI : 10.30775/KMES.49.1.145
  • 287

이 연구의 목적은 코다이 교재에 나타나는 음표 및 보표, 화음, 짜임새 등의 단계성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음악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첫 단계는 음표가 없는 노랫말과 일정박만을 제시하며, 이어서 마디선, 박자표, 완전한 5선 보표 등의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발전한다. 둘째, 가락의 단계는 2음 음계부터 한 음씩 더하면서 복잡한 음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방식이며, 이 가락은 자국의 민요 가락에 근거를 두고 있다. 셋째, 화성 학습의 단계는 자연배음의 원리에 근거하여 구성한다. 넷째, 짜임새의 단계성은 음계(5음 음계, 7음 음계 등), 가락 모방 방식(단순 반복, 5도권 모방 등), 조성 변화(이조, 복조성 등) 등에서 점진적 차이를 두고 진행한다. 다섯째, 코다이 교재는 나선형 개념 모형의 원리를 구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sequence in notes, staves, chords, and textures in the Kodály’s textbook.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step to read and write music is to present only words and schedules without notes. Second, the step of the melody is a way of developing the complex scale by adding one note from the second scale, which is based on the folk song of the country. Third, the step of harmonic learning is construc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ural harmonics. Fourth, the step of the texture proceed with gradual differences in scale, rhythmic imitation, and compositional changes. Fifth, the Kodály’s textbook embodies the principles of the spiral conceptual model.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