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漁村 沈彦光의 漢詩 硏究 -「歸田錄」에 나타난 晩年心理에 대해서-

A Study of Sino-Korean Poetry of Eochon Shim Eon-gwang - The Psychology of the Elderly Appearing in 「Gwijeon-rok」 -

  • 20

본고는 조선 중종 시기의 名臣인 漁村 沈彦光(1487-1540)이 낙향 후 2년간 지은 「歸田錄」 所載 漢詩에 나타난 심리 상태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어촌 심언광은 1507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1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등에서 청요직을 거쳤던 인물이다. 그는 내직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이조판서, 공조판서, 우참찬에 올랐고, 외직으로는 강원도와 함경도 관찰사를 지냈다. 어촌은 대사간으로 있던 1530년 무렵, 이언적을 비롯한 사간원 여러 관료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자신의 형인 심언경과 뜻을 모아 김안로가 해배되어 예조판서로 서용되는 데 일조했다. 하지만 훗날 김안로가 붕당을 조성하고 사익을 추구하며 옥사를 일으키자 그의 본색을 알게 되었고 사면에 힘쓴 것을 후회했다. 김안로가 賜死된 뒤에는 그의 서용에 힘쓴 일이 빌미가 되어 대간의 탄핵을 받고, 1538년 52세의 나이로 파직당한 뒤 고향인 강릉으로 돌아와서 2년 뒤 세상을 떠났다. 문집에 수록된 시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23년간의 관료 생활을 불명예스럽게 마치고 떠나야 했던 어촌의 발걸음은 무거웠고, 고향인 강릉에 와서도 좀처럼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했다. 어촌에 대한 연구는 문학, 생애, 사상, 유훈, 유적 등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조명한 적이 없는 󰡔漁村集󰡕 권10에 실린 「歸田錄」 소재 한시를 대상으로 어촌의 晩年 심리 상태에 대해 고찰했다. 「귀전록」의 한시들은 어촌이 관직에서 물러난 뒤인 1538년에서 1540년 사이에 지어졌기에 그의 여생이 어떠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고의 제2장에서는 사용된 시어를 통해 시인의 자아의식 양상을, 제3장에서는 경물 묘사 속에 반영된 감정의 실체를, 제4장에서는 시상 전개에 따른 시인의 정서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귀전록」의 시에는 좌절된 욕구로 인해 현재 자신의 모습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자의식 과잉의 현상이 보이며, 감정적으로 자족이나 우울을 노래한 작품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작품 내에서 시인의 정서가 전환되는 변곡점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처럼 「귀전록」에 실린 시들은 자기 고백이자 성찰의 작품으로서 어촌의 만년 심리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This article is the study that contemplated on the psychological condition appearing in the sino-Korean poetry recorded on 「Gwijeon-rok」 that was written by Eochon Shim Eon-gwang, a person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a period of two years after he returned to his hometown then. Eochon Shim Eon-gwang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Jinsa in 1507 and he passed the Gwageo in 1513 and served in important government positions in Yeomungwan, Saheonbu, Saganwon, Hongmungwan and others. As he served a number of inner government positions, he held the positions of Ijo Panseo, Gongjo Panseo, and Woochamchan as well as the external positions as governor of Gangwon-province and Hamgyeong -province. Around 1530 as he was working as Daesagan, Eochon gathered the opinions with Shim Eon-gyeong, his older brother, to assist Kim An-ro released from exile to become Yeojo Panceo beyond the oppositions from a number of government officers from Sagan-won. However, when Kim An-ro joined others to make faction and striven for private interest to cause commotion at a later time, Eochon learned on true color of him and regretted that he worked hard for his amnesty. After the death of Kim An-ro, he was impeached by Daegan because of his effort for his amnesty and was dismissed from his post at the age of 52 in 1538 to return back to Gangneung, his hometown, and passed away after 2 years. As shown on the poetry writings recorded on the literature collection, the foot-steps of Eochon who had to leave the government after 23 years of service in dishonorable fashion were heavy and he could not set his mind straight even at his homeland, Gangreung. The study on Eochon was progressed in a number of aspects, such as, literature, life, ideologies, dying injunctions, relics and so forth, and under this article, the elderly psychological condition of Eochon was contemp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sino-Korean poetrys recorded in 「Gwijeon-rok」 that had not shed the light in existing discussions. The sino-Korean poetrys recorded in 「Gwijeon-rok」 on Volume 10 of 󰡔Eochon-collection󰡕 are important data to find out about his life as they were written between 1538 and 1540 after Eochon leaving his government posi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regoing points, Chapter 2 of this article takes a look at the self-egoistic trend of poet through the poetic language used, and Chapter 3 takes a look at the actual body of emotion reflected in the description of matters while Chapter 4 takes a look at the sentiment change of poets following the deployment for poetic contemplation. As a result, the poems of 「Gwijeon-rok」 displays the phenomenon of excessive self-ego to look at his despair from the unfulfilled desire in adverse ways, and the works on emotionally self-sufficiency or depression were shown in similar proportion, and it is shown to have the point of inflection where the sentiment of the poet to change within a work. As such, those poems appearing in 「Gwijeon-rok」 are the self-confession as well as works of in-sight that they are precious data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the later year of Eochon.

1. 서론

2. 시어 사용에 나타난자아의식 양상: 욕구의 좌절과자의식과잉

3. 경물 묘사에 내재된감정의 실체 : 자족과우울의경계

4. 시상 전개에 따른 정서적추이 : 돈좌로 인한 정서의전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