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동남아시아의 사회서비스와 ODA 진행 현황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서비스의 확대 예상에 따른 주요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동남아시아의 주요 국가에서 예상과 다르게 사회서비스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그에 따른 인적자원 양성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사회서비스의 확대는 해당 국가의 국가발전 및 산업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국 및 일본의 공적개발원조기관처럼 우리나라의 공적지원도 역시 단순한 빈곤 및 보건사업 중심에서 벗어나 사회서비스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과 활동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gress of social services and ODA in Southeast Asia, and to present the main plans for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ocial services are gradually expanding in anticipation of major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bout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support are needed accordingly.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country. Thus, like the US and Japan s public development assistance agencies, Korea ODA needs to be focused on social services than just poverty and health services.
Ⅰ. 들어가는 글
Ⅱ. 대한민국의 공적개발원조 현황
Ⅲ. 외국의 국제개발협력과 사회서비스 지원 현황
Ⅳ. 공여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사회서비스와 ODA 사업 현황
Ⅴ. 마무리 글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