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일 지역 농업 종사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농부증 및 영향요인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Farmers Syndrome and Related Factors of Workers in Agricultural Industry

목적: 본 연구는 농업 종사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농부증을 파악하고,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7월 1일부터 동년 8월 10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454명의 농업 종사자를 편의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Scheffe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1. 농업 종사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도는 평균 3.30점으로 나타났고, 농부증 양성율은 29.3%로 나타났다. 2. 농업 종사자의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농부증은 성별, 연령, 수면시간, 지각된 건강상태, 아침식사, 운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농업 종사자의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지각된 건강상태, 아침식사 및 운동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한 농업 종사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ealth promotion lifestyle (HPL), farmers syndrome and related factors of workers in agricultural industry. Methods: A total of 454 agricultural worker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August 10, 2009.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7.0. Results: 1. The mean score of HPL was 3.30 and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was 29.3%. 2. Analysis of farmers syndrome show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gender, age, sleeping time, perceived health status, breakfast and exercise. 3. Gender, age, perceived health status, breakfast and exercise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workers of agricultural industry considering these result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