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건강관리사의 지식, 태도, 기술,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ttitudes, Skill,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Healthcare Managers

  • 5

목적: 본 연구는 4개 교육과정에 참여한 건강관리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 태도, 기술,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차이와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52명의 건강관리사이다. 자료분석은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 test와 부분상관 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지식과 기술은 건강관리사 경력과 교육과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태도는 성, 연령, 교육과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성, 연령, 건강관리사 경력, 교육과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인구학적 특성은 없었다. 지식, 태도, 기술,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육과정의 수준이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과 달리 직무만족에서는 교육과정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의하면, 지식, 태도, 기술,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내적 차원의 개념인 반면, 직무만족은 조직 차원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례관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강관리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ttitudes, skill, self-efficacy (SE), and job satisfaction (JS) of healthcare managers (HMs) participated in the 4 kinds of continuing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52 HMs. Data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 test, and partial correl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althcare management experience (HME) and the training program level (TPL); in the attitud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the TPL; in the skill according to the amount of HME and the TPL; and in SE according to gender and the TP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attitudes, skill, SE, and JS. Conclusion: The TPL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common variable that affects all variables apart from JS. According to these results, knowledge, attitudes, skill, and SE are considered as intrapersonal constructs, whereas JS is considered as an organizational construc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care management, organizational strategy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HMs are recommende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