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on Their Social Skill: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778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기술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유아 1,20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을 제안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skill and aimed to lear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 Methods: Materials of the 7th year Korean Children’s Panel (2014)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in the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0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survey and their homeroom teachers.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2.0. Result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skill; (2)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3)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skill; and (4)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on their social skill.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s.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