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습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OI : 10.37210/JVER.2018.37.2.39
  • 156

이 연구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성취도간 상관 효과크기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2016년까지 수행된 관련 문헌을 검색하여 문헌 선정기준 및 질 평가를 통해 최종 31편의 문헌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그 중에서 학업성취도가 자가진단으로 측정된 문헌을(4편) 제외한 27편의 문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에 활용된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은 2000~2016년까지 총 31편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절반 이상의 연구가(16편) 최근 4년간(2009~2012년) 이루어졌다. 교육훈련 대상별로는 대학생(18편), 근로자(9편), 초등학생(4편) 연구 순으로 많고, 방법별로는 집체(15편), 원격(14편), 혼합(2편) 순, 학습자 참여방식 별로는 일반적 방식(22편), 활동적 방식(9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 효과크기를 검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성취도간 상관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ZCOR=.297, 95%: CI .210~.383).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개별 문헌으로만 보았을 때는 상관이 있는 문헌도 있지만, 통계적으로 상관이 없는 문헌도 있었고, 상관이 있더라도 상관이 높거나 중간이거나 낮은 문헌들이 혼재되어 있다면,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성취도의 상관관계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은 큰 의의가 있다. 셋째,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별 만족도-성취도간 상관 효과크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대상과 방법에서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자의 참여방식(일반적, 활동적)에 따라서는 상관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었다(Q=15.40, df=1, p<.0001). 활동적 참여방식은 큰 상관 효과크기를(ZCOR=.588, 95%: CI .422~.754), 일반적 참여방식은 중간보다 낮은 상관 효과크기를 보였다(ZCOR=.211, 95%: CI .122~.3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magnitud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 s satisfact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do this, we searched relevant literature from 2000 to 2016, and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final 31 studies through the selection criteria and quality evaluation. Among them, 27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31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00 to 2016, and more than half of them(16) were conducted for the last 4 years(2009~2012).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ents, there are 18 college students, 9 workers, and 4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of study. In terms of methods, 15 collective education, 14 distance education, 2 blended education. In terms of learner s participation, 22 the general participation, 9 the active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magnitude of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as moderate(ZCOR=.297, 95%: CI .210~.383).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correlation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student object and education method,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correlation effect depending on the participant type(Q=15.40, df=1, p<.0001). The active participation showed a correlation effect size larger(ZCOR=.588, 95%: CI .422~.754). The effect size of the general participation was lower than the median(ZCOR=.211, 95%: CI .12 ~.300).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