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고용형태(정규직 및 비정규직)별 효과크기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메타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총95편이었다. 자료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α=0.05)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고용형태의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이다. 둘째, 5가지 직무만족도 구인 중에서 임금 및 승진 만족도의 차이가 인간관계, 업무 및 근로환경 만족도의 차이보다 크다. 셋째,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차이는 직업군에 따라 다르다. 넷째, 금융·보험, 음식·서비스 관련 직업군은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가 크며,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반면, 보건·의료, 사회복지·종교 관련 직업군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type of employment by combining data from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total of 95 articles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data,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program was u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5%( = 0.05).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workers and the effect size of employment type is medium. Second, among five constituents of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 of wage and promotion satisfaction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work and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differ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areas. Fourth,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insurance, food and service occupation areas, and 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non - regular workers. On the other hand, non-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regular workers in health, medical, social occupation area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