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 64

본 연구는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장벽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270명의 재취업구직자를 대상으로 진로장벽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을 설문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존의 연구들과 같이 진로장벽인식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둘째,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장벽인식은 진로탄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은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다 하더라도, 높은 진로탄력성을 지니고 있는 재취업구직자는 보다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진로장벽을 극복하고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진로탄력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실직 이후 불안한 사회경제적 여건 아래 객관적, 주관적으로 높은 진로장벽에 맞닥뜨린 구직자들에게는 진로탄력성 증진에 초점을 맞춘 상담 및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ob seekers for re-employment. A total of 270 job seekers for re-employment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fill in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career resilienc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SPSS 20.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show as follows: 1) for those who were seeking for re-employment with a high level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a low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also detected. 2) perceived career barri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resilience.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areer resilience fully mediated between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suggests that job seekers for re-employment who have high perceived career barriers improve career resilience in order to develop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study were discussed.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