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characters assessment tool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 17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일반적인 교직 인성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구인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다음,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직업교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과 직업교육 관련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이에 대전, 충남, 전남 소재 3개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10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평가 도구 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한 1차 평가 도구 개발 후, 특성화고 현직 교사 10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특성화고 현실에 맞도록 문항을 재구성하거나 추가하여 2차 평가 도구를 개발 하였다. 또한 직업교육 교수 1인, 특성화고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석사 혹은 박사학위 소지자 7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7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 요인의 59개 항목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사한 결과, NC(Normed Chi square)값은 1.871, CFI값은 .889, RMSEA값은 .065, RMR(SRMR)값은 .045(.0717)로 나타나 본 연구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설문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부정적 교직 인성` 항목이 임계치 이하의 수치가 나타나 최종 검사도구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평가 도구는 9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56문항이 개발되었다. 교사는 단순히 자신의 교과지식을 전달하는 자가 아닌 교과를 매개로 하여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자이다. 이때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것은 지식만으로는 부족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general teacher character factors that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based on this, develop and validate an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firstly, we have derived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through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and after ensuring the validity on the contents, and we have ensur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a factor analysis process, and lastly we have conducted a reliability test. The recruited group for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ttend the related departments of vocational education nationwide and graduate students who atte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400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3 universities of located in Daejeon, Chungnam, and Jeonnam, and have used the 210 responded surveys as our analysis data after excluding unresponsive and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350 collected surveys. As for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fter developing the first evaluation tool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we have restructured or added question items to fit the rea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y asking for advices from 10 currently working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one vocational education professor and seven masters or doctoral degree hold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professional career experiences of teaching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s a result, 77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secu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ol, 59 items of 10 factor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model validity, NC(Normed Chi square) value of 1.871, CFI value of .889, RMSEA value of .65 and RMS(SRMR) value of 0.45(.717) were shown to confirmed that this study model was appropriate. Finally,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tool, `negative teacher character` item showed a value below the threshold level, so we have excluded from the final evaluation tool. As a result, finally 56 question items consisting of 9 factors were developed for teacher character assessment tool for pre-service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