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83.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 28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방식으로 매개하는지 그 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의 3개 4년제 대학교에서 508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낮아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스트레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음으로써 진로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더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과 사회인지이론을 지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sorts of mediating rol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Data was collected 508 university students in Daegu-Gyeongs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medi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roduc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led to low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ut nevertheless, the hig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ed to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directly influenced by career stress, but it was found to be less directly affec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supported social cognitive theory. It is significant in that respect.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로딩중